윤석화(56). 연극배우이자 연출가, 최근 창간 28주년을 맞은 공연예술 전문지 <월간객석> 발행인이다. 2년 전부터 영국에서 뮤지컬 프로듀서로 활동하고 있다. 오는 26일에는 주인공을 맡은 영화 <봄, 눈>(감독 김태균)을 내놓는다. 자청해서 완전 삭발을 하는 등 열연을 펼친 그는 다시 영국으로 돌아가 뮤지컬 <톱 햇>(Top Hat)과 <지상에서 영원으로>(From Here To Eternity)를 올릴 예정이다. 이후에 귀국, 국내 활동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윤석화의 열정 넘치는 삶을 소개한다.
-<봄, 눈>은 어떤 영화인지요
“엄마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네 일상의 소중한 기적을 그린 영화예요. 원래 제목은 <눈물이 아름다워>인데 제가 바꾸자고 했어요. 눈물이 아름답다는 걸 믿지만 ‘우는 영화’라는 식상한 느낌을 지레 줄 것 같아서. 극중에 나오는 노래 <봄날은 간다>가 떠올라 <봄날이 온다, 눈물이 아름다워>로 하자고 했고 이를 줄여 <봄, 눈>이 됐어요. 실제로 고난과 슬픔이 짙은 날에도 봄은 오지요. 눈물은 정화·치유·회복의 힘을 지녔고. <봄, 눈>에서 봄은 엄마의 마지막 봄과 남은 가족의 새 봄이고, 눈은 눈물(Tear)이고 눈(Snow)이기도 해요. <봄, 눈>은 한 가족을 중심으로 그런 이야기를 담았어요.”
-영국에서 출연제의를 받았는데요.
“제의를 받고 저도 정말 의아했어요. 왜 나지? 영국에 있는데? 한국에 ‘순옥’ 역할을 잘해낼 배우들이 많은데? 그리고 나름 헤아려 본 이유에 고개가 끄덕여졌지만 상황이 여의치 않아 못할 거라고 생각했어요. 결과적으로 강행을 했지만.”
-언제 받았나요.
“작년 가을이에요. 제가 연출한 연극 <나는 너다>(2011)에 출연한 후배에게 먼저 연락을 받았고 설마 했는데 실제로 시나리오를 보내 왔더군요. 이메일로. ‘1년 365일 단 하루도 거르지 않고 어스름 속 새벽 첫 차를 타고 일을 나가는 어머니들께 바친다’는 시나리오를 읽고 진심을 느꼈어요. 어떤 감독인지 궁금해 영국으로 올 수 있겠느냐고 물었죠. 못 올 거라고 예상하고. 그런데 일주일 뒤에 오셨어요. 4박5일 일정으로. 많은 이야기를 나누면서 저와 지향점이 같아 영화의 진실성을 잘 살릴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지요.”
김태균 감독은 윤석화 캐스팅에 대해 “예술적 직감”이라고 했다. “소재가 통속적인데 흔히 예상되는 여배우가 출연하면 더욱 차별화가 안 될 것 같아 고민하던 중 아내가 윤석화 씨를 추천했다”며 “그 이름을 듣는 순간 확신이 섰다”고 했다. “윤석화 씨가 하지 않으면 연출을 포기하려고 했는데 다행히 뜻이 통했다”고 덧붙였다.
-유사 소재 영화가 적지 않은데요.
“결정 당시 제가 봤거나 들은 다른 영화와 비교하지 않았어요. 이 영화 자체로 의미가 있으니까. 배우로서 검토하는 방법이 다르고, 감성이 다르고, 그에 따라 관객들 느낌도 다를 거니까. 결정하고 나서 감독, 제작진과 유사 영화를 놓고 이야기를 폭넓게 나눴는데 그때에도 우리가 무엇을 느끼고 어떻게 전달하느냐가 가장 중요하다는 데 의견의 일치를 봤어요.”
-실제로 완전 삭발을 했습니다.
“감독은 가발을 쓰자고 했는데 제가 삭발하겠다고 했죠. 배역을 제대로 소화하고 싶고, 고통을 온전히 표현하고 싶어서.”
항암제 치료를 받는 순옥은 머리를 감다가 머리카락이 힘없이 뭉텅이 채 빠지는 걸 보고 머리를 자른다. 공기조차 숨죽이고 있는 듯한 침묵 속에서 들리는 건 서늘한 가위 소리 뿐. 이어 가위질 사이사이에 순옥의 신음소리가 간간히 들려온다. 이 신음은 눈 깜짝할 사이에 서로운 울음으로 변한다.
-현장 상황이 어땠나요.
“엔지가 나면 안 되니까 현장에 긴장감이 팽배했는데 새삼 배우가 거룩할 수 있다는 느낌이 들더군요. 김태균 감독과 스태프, 후배 배우들이 모두 울었어요. 저도 덩달아 울었고…. 저희 엄마가 암으로 4개월을 선고받았는데 15년을 살다가 돌아가셨어요. <봄, 눈> 하면서 세상에 안 계신, 아름다운 흔적을 남겨놓고 가신 엄마 생각 많이 했죠. 미안하고 고마웠어요. ‘순옥’도 그래요. 사랑스러운 여자예요. 우리들의 엄마죠. 지금 저는 두 아이의 엄마인데 가슴으로 낳은 아이들이어서 더욱더 순옥이처럼 잘, 열심히 살다가 새로운 봄의 소망과 기적을 남겨주고 세상을 떠났으면 해요.”
-세 번째 삭발인데요.
“연극 <덕혜옹주>(1995)와 <위트>(2005)에서 삭발했죠. <덕혜옹주>에선 옹주가 정신병원에서 겪는 고통을 표현하기 위해, <위트>에서는 난소암으로 죽어가는 영문학과 교수의 모습을 실감나게 보여주려고 깎았어요. <덕혜옹주> 때 신혼이어서 남편에게 미안했죠. <위트> 때에는 자긍심과 연민을 느꼈고. 이번에는 어린 아이들이 어떻게 받아들일는지 걱정스러웠지만 배우로서 쓰일 수 있다는 데 감사했어요.”
-<레테의 연가>(1986) 때 아쉬움이 이번에 열정을 불사른 동기가 됐는지요.
“저는 <레테의 연가>를 제 영화라고 생각하지 않아요. 계약 사항과 달리 후시녹음 때 성우가 제 역을 했어요. 관객들이 어떻게 봤든 제가 한 역은 제가 아니에요. <봄, 눈>은 그 자체로 열정을 불사를 충분한 가치가 있는 작품이에요. 제 마음에 들어서 제 의지로 선택했고 출연·제작진과 충분한 교류 아래 신뢰감을 바탕으로 완성한 저의 영화 데뷔작이에요.”
-<봄, 눈>에 앞서 출연제의를 받은 영화는.
“여러 편을 받았죠. 그 가운데 두 편은 하려고 했는데 일정 등이 맞지 않아 못했어요. 한국영화는 거의 다 봐요. 많이 다양해지기는 했지만 중장년층 배우들이 연기하고 동년배들이 볼만한 영화가 드물어 많이 아쉬워요. 앞으로 제가 확신할 수 있는 이야기라면 지나가는 할머니도, 조그만 가게 주인 역할이어도 할 거예요. 좋은 시나리오가 있으면 감독에게 연출도 의뢰하고. 좋은 영화를 함께 만든다는 기쁨을 나누고 싶거든요.”
-영국 활동은 어떤 계기로 하게 됐나요.
“재작년 10월 팀 라이스를 만난 게 계기예요. 뮤지컬 <에비타> <지저스 크라이스트 슈퍼스타> <아이다> 등 굵직한 작품의 작사가예요. 그와 작품 이야기를 나누면서 더 늙기 전에 영국 런던의 웨스트엔드에서 경험과 실력을 쌓자고 결심, 2년 예정으로 들어갔죠. 처음에는 많이 힘들었는데 그럴수록 물러서지 않았어요. 제 바이오그래피를 인정하든 않든, 동양인 여자라고 무시하든 말든, 잃을 게 없다는 생각으로 달려들었고 거물급 제작자 리맨지스에게 인정받으면서 프로듀서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어요.”
지난해 7월 연극 <여정의 끝>으로 성공적인 데뷔전을 치렀고, 오는 27일부터 뮤지컬 <톱햇>을 올린다. 관객 반응에 따라 폐막하는 오픈런(Open Run) 방식으로. 그리고 오는 11월에는 뮤지컬 <지상에서 영원으로>를 공연할 예정이다. 올해 말이나 내년 여름에는 귀국, 연극을 공연을 필두로 국내 활동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배우, 연출가, 프로듀서, 공연예술 전문지 발행인…. 윤석화는 “언제까지나 뜨거운, 영원한 현역으로 남고 싶다”고 기원했다.
'카메오 배기자의 지상 트위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대희 감독 “<파닥파닥> 위해 횟집서 아르바이트했죠” (0) | 2012.04.29 |
---|---|
<은교> 정지우 감독 “베드신은 감정, 그 수위에 고심” (0) | 2012.04.22 |
<봄, 눈> 윤석화 “엄마의 이름으로 사랑과 희망을!” (0) | 2012.04.09 |
조진웅 “전작 화장 싹 지워야 신작 화장 잘 먹는 법” (0) | 2012.04.01 |
조성하 “연극하면서 택시 기사, 배추 장사도 했죠” (0) | 2012.03.25 |
변영주 감독 “<화차> 한다고 미쳤냐는 소리까지 들었어요” (0) | 2012.03.21 |
댓글을 달아 주세요